강아지 호흡기 질환의 증상에 따른 종류
기침이나 구역질을 하는 질환
강아지의 기침은 급성이냐 만성이냐에 따라 나뉠 수 있습니다. 먼저 급성 기침일 경우 단순히 먼지나 이물질이 코나 입으로 들어간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기침을 한다면 다른 개나 동물에게서 옮은 전염성 질환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침은 기관지나 성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후두나 편도, 인후 감염의 경우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강아지가 기침을 할 때 목을 앞으로 쭉 빼고 한다면 이를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기관지 염증은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는데, 폐렴이나 급성 기관지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만성의 경우 급성보다 더 위험합니다. 만약 자꾸 밤에 기침을 한다면 심장 쪽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허파에 물이 차면 구역질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만성 기침은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갈수록 심해지며, 산책이나 격한 운동을 하고 난 뒤에는 특히 더 심해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나이가 든 노견에서 만성 기관지염이 발병하기 쉽습니다. 회충이나 심장사상충 같이 기생충에 감염된 경우에도 기침을 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자꾸 기침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우선 병원으로 가 보아야 합니다. 원인이 심장기능의 약화라면 심장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기관지가 쇠약하다면 수명까지도 깎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인공기관지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대부분의 기생충은 심하지 않다면 약물치료로도 가능합니다.
콧물과 재채기를 하는 질환
강아지가 한두번씩 재채기를 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특히 아침에 자고 일어나서 몇 번 재채기를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콧물을 같이 흘린다거나 빈도가 잦다면 질병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염증이 생기면 고름 같은 액체가 나올 수 있습니다. 특히 한쪽 코에서 피가 섞였거나 화농성 콧물이 흐른다면 코 안에 이물질이 있거나 종기가 난 것입니다. 알레르기 때문에 재채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콧물과 재채기는 대부분 약물로 치료합니다. 바이러스나 세균, 기타 미생물에 의해 염증이 생긴 경우 역시 보통 약물치료를 진행합니다. 알레르기가 원인이라면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단 이물질이 재채기를 유발한다면 그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종기가 생긴 경우라면 수술로 제거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당연히 수의사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호흡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
숨소리가 평소와 다르거나 숨을 쉬는게 어려워 보인다면 매우 위험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피나 고름 같은 액체가 호흡기관으로 흘러들어 가면 숨을 쉬는 게 어려워집니다. 이 경우 산책도 나가기 싫어하는 등 무기력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기침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숨을 깊게 쉬지 못하고 계속해서 얕은 숨만 쉰다면 갈비뼈가 골절되어 숨 쉴 때마다 통증을 느끼는 것일 수 있습니다. 숨을 가쁘게 쉰다면 심장이나 신장, 허파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호흡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심하면 죽음에 이를수도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곧장 병원으로 가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호흡계에 고름이나 물이 찬 경우는 수술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코골이를 하는 질환
연구개가 늘어져서 후두를 막으면 코골이를 하게 됩니다. 품종 특성 상 선천적으로 콧구멍이 좁거나 연구개가 길어서 코골이를 쉽게 하는 종들도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연구개가 늘어지면 코골이를 하기도 합니다. 알레르기로 인해 목구멍이 부어올라서 코를 골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형견들은 코골이로 인해 호흡곤란이나 심장에 무리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심하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연구개를 절단하는 수술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좁은 콧구멍도 수술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이라면 약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목소리가 달라지는 질환
강아지가 짖는 소리가 달라진다면 보통 후두에 무언가 이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알레르기로 인해 후두가 부어오르면 목소리가 달라질 수 있으며, 간혹 종양이 생긴 경우도 있습니다. 종양은 특히 노견에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알레르기로 인한 부어오름은 약을 투여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종양은 수술을 해서 제거해야 합니다.